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이은애 영양학교수 건강칼럼

강남중 기자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성인병을 예방하는 무화과(Fig)

무화과(Fig)에는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 중 성경 창세기 3장 7절에 “이에 그들이 눈이 밝아 자기들의 몸이 벗은 줄을 알고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 치마를 하였더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렇듯 과거에 무화과는 원죄(原罪)와 관련지어 욕망의 상징으로 표현되기도 했으며, 무화과나무는 불모(不毛)를 의미하고 유대 교회나 유대인을 암시하기도 했다. 또한 그리스도와 관련된 그림 안 성모 마리아 옆에는 주로 무화과 잎이 그려져 있다. 그래서 ‘무화과’를 신의 열매라고도 일컫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식사를 끝낸 후에는 반드시 디저트로 무화과를 먹었다. 당도가 높은 달콤한 과일이기 때문에 식사 후에 소화를 도와준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무화과는 재배과수로서 세계에서 가장 오랜 낙엽 활엽 관목이다. 원산지는 소아시아, 아라비아 남부, 팔레스타인이지만 기원전 2000년경부터 이스라엘을 비롯해 지중해연안 지방에서 널리 재배되었다. 미국에는 16세기 말에, 중국과 일본, 한국 등에는 17세기 초엽에 분포되어 재배되고 있는데, 화과나무는 가지 줄기만 꺾어 심어도 잘 자라나 일본에서는 주로 정원수로 많이 이용된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열매 같은 꽃이 달리고 안에는 작은 꽃이 많이 달리지만 겉에서는 꽃이 보이지 않아 ‘무화과(無花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무화과 과실은 가을에 어두운 자주 색으로 익는데, 여름과일과 가을과일로 분류된다.

무화과가 익을 때 나타나는 색상은 안토시아닌 성분인데, 이것은 비타민A의 전구체인 카로틴과는 연관이 되지 않는다. 무화과의 영양 성분은 칼슘(Ca), 인(P) 등의 미네랄과 비타민C 그리고 소량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나 주성분은 포도당과 과당이다

무화과에는 라노스테롤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데 좋으며, 칼슘과 무기질도 풍부해 체내의 산성화를 중화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무화과에 함유된 단백질 분해효소인 ‘피신’은 소화를 촉진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그 외에도 무화과에는 폴리페놀과 섬유질도 많이 함유하고 있고, 면역성이 강하기 때문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할 수 있다.

무화과의 잎은 팔손이나무와 모양새가 비슷하지만 3~5갈래로 갈라져 있다. 잎은 단백질과 고무질의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잎의 유즙을 이용해 회충 등의 구충제, 신경통의 약제로 이용되어왔다. 그리고 발등에 생기는 사마귀에 무화과 잎의 유즙을 바르면 효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과일은 날것 그대로 먹거나 건과, 잼, 통조림 등으로 가공해 섭취한다.

• 상식

- 무화과는 단백질의 분해효소인 펩신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연육제로 사용된다. 고기를 조리하기 전에 무화과를 고기와 함께 미리 재어두면 고기가 연해질 뿐만 아니라 맛도 한결 좋아진다.

- 무화과는 오래 보관하기가 힘든 과실이기 때문에 주로 건조시키곤 한다. 소금에 약간 절여 일광에 건조시키면 오래두고 수시로 섭취할 수 있다. 이렇게 건조된 무화과는 다량의 칼슘, 칼륨, 인(P) 등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Number Title Date
100
이은애의 식품영양 컬럼을 마감하며
2023.02.04
99
"식생활 지침 10가지" <식품을 통해 병을 얻을 수도 있고 치료할 수도 있다.>
2023.01.21
98
구수한 맛, 감칠맛을 내는 지 미 료( 旨味料; flavor enhancer).
2022.12.31
97
우린 국물(다 시 마;Tangle)
2022.12.24
96
추어탕의 향신료 산초(Chinese pepper)
2022.12.10
95
인간이 만들어낸 최고의 산미료
2022.11.26
94
식생활 문화의 기초인 소금 1 (salt 1 )
2022.07.16
93
버터(Butter)와 크림(Cream)
2022.07.02
92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치즈(Cheese)
2022.06.18
91
완벽한 영양균형_우유2(Milk_2)
2022.06.04
90
정신신경안정제로서 수면에 도움을 주는 우유 1 (Milk1)
2022.05.21
89
신선하게 알고 섭취하기, 달걀_3(Egg_3)
2022.04.16
88
항암, 항균 식품 달걀-2(Egg- 2)
2022.04.02
87
식탁 위의 불로초 달걀- 1(Egg1)
2022.03.19
86
체온과 호르몬 생성을 조절하는 동물성 유지(Fat)
2022.03.05
85
비타민 흡수를 촉진하는 식물성 유지 -2(Oil- 2)
2022.02.20
84
안정성이 뛰어난 식물성 유지-1(Oil-1)
2022.02.05
83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참새고기, 정력에 좋은 메추라기
2022.01.22
82
독을 풀어주는 거위(Goose) // 설사를 멎게 하는 꿩(Pheasant) 고기
2022.01.09
81
사슴고기(Venison) // 노화를 방지하는 말고기(Horse)
2021.12.27
80
기운을 북돋아 주는 염소고기(Goat)
2021.12.11
79
우울증에 효력이 있는 칠면조고기(Turkey)
2021.11.20
78
피부미용과 기력회복에 효력이 있는 양고기(Lamb)
2021.10.31
77
면역력 강화에 효과적인 오리(Duck)
2021.10.16
76
영양과 맛을 살린 부위별 요리법, 닭고기- 2(Chicken-2)
2021.10.02
75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고 산후 회복을 돕는 닭고기-1(Chicken-1)
2021.09.18
74
영양과 맛을 살린 부위별 요리, 돼지고기_3(Pork_3)
2021.08.28
73
신선하고 맛이 깊은 고기 선별법, 돼지고기_2(Pork_2)
2021.08.15
72
간장을 보호하고 진폐증을 예방하는 돼지고기-1(Pork-1)
2021.07.31
71
어린이 성장 발육에 효과적인 소고기(Beef)
2021.07.10
***** 칼럼의 내용은 본 신문사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