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Featured 미주한인뉴스

[월북 킹 이병] 北 “망명 의사 표명”, 美 “의심 갖고 봐야”

지난달 월북한 미군 트레비스 킹 이병이 망명 의사를 표명했다고 북한이 밝힌 가운데 미 국무부는 해당 의사의 진위를 확인할 수 없다면서 당국은 킹 이병의 안전한 귀국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 국무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국무부의 최우선 과제는 킹 이병을 집으로 데려오는 것이며, 이를 위해 모든 가용 채널을 통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전날(15일) “조사 과정에서 트래비스 킹은 미군 내 비인간적인 학대와 인종차별에 대한 악감정을 품고 있어 북한으로 건너오기로 했다고 자백했다”면서 “킹 이병은 불평등한 미국사회에 환멸을 느꼈다면서 북한이나 제3국으로 망명 의지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16일 자진 월북한 주한 미군 트래비스 킹 이병이 망명 의사를 밝혔다는 북한의 발표와 관련, “북한에서 나오는 것은 무엇이든 의심을 갖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워싱턴DC 국무부 외신센터(FPC)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우리가 얘기하는 사람은 김정은”이라며 이렇게 답변했다.

그는 “그래서 우리는 북한에서 나오는 발언과 성명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경향이 있다”면서 “그리고 우리가 북한에서 나오는 성명에 대해 많은 것을 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것은 중요한 후속 상황”이라며 “우리는 여전히 킹 이병이 어디에 있는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길 원한다”면서 “우리의 걱정은 분명히 최악의 상황에 있기 때문이며, 우리는 슬프게도 그의 안전을 걱정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지적했다.

커비 조정관은 “우리는 다른 채널을 통해 북한에 그것을 분명히 해왔고, 우리는 (킹 이병을) 미군으로 복귀시키고, 그를 귀환시키길 원한다는 것을 계속 분명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하지만 우리는 지금 그가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있는지에 대해 많은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고 했다.

그는 “그래서 그것이 매우 어렵고, 북한에서 나오는 모든 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전날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트래비스 킹은 불평등한 미국 사회에 환멸을 느꼈다고 하면서 우리나라나 제3국에 망명할 의사를 밝혔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미국 국방부는 이런 북한의 발표를 검증할 수 없다며 “국방부의 우선순위는 킹 이병을 집으로 데려오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미 국무부도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해당 의사의 진위를 확인할 수 없다면서 “국무부의 최우선 과제는 킹 이병을 집으로 데려오는 것이며, 이를 위해 모든 가용 채널을 통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김현 특파원 <기사제공 = 하이유에스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