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Featured 미주한인뉴스

오염수 방류 앞두고 분주한 日… 한미일 정상회의서 무슨 말 할까

美 ‘안전하다’ 용인할 경우 무작정 반대 어려울 듯 ‘한국 전문가의 방류 점검 참여’ 놓고 이견 못 좁혀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부지 내에 보관 중인 방사성 오염수의 해양방류 개시가 임박해오면서 일본 정부 또한 국내외에 그 ‘안전성’을 설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일본 측은 다음주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의에서도 이 문제를 적극 공론화하려 할 것으로 예상돼 그 결과가 주목된다.

우리 정부는 지난달 잇달아 열린 한일정상회담과 외교장관회담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시작될 경우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방류 점검 과정에 우리 전문가를 참여토록 하며 △방류 오염수의 방사성 물질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땐 즉각 방류를 중단하라는 3가지 요구사항을 일본 측에 요구했다.

이후 한일 양측은 국장급 회의와 실무회의를 통해 우리 측 제안 사항 등에 관해 논의했으나, 아직 구체적인 결과를 내놓진 못한 상태다. 이와 관련 일본 측은 우리 전문가의 오염수 방류 점검 참여에 대해 ‘난색’을 표시하고 있단 관측이 제기된다.

한일 양측은 다음주에도 추가 실무협의를 진행할 계획이지만, 현재로선 ‘이견을 좁히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일각에선 일본 측이 한일 간 실무협의보다는 오는 18일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의란 ‘대형 이벤트’를 계기로 정상 차원에서 쟁점사항을 매듭짓는 방향을 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우리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는 “이번 한미일 회의 의제가 아니다”고 설명해왔지만, 일본 측이 즉석에서 건의하고 미국 측이 이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우리 측으로서도 이를 ‘거부’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특히 최근엔 우리나라 등 주변국뿐만 아니라 일본 내에서조차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만일 이번 한미일 회의에서 미국 측이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은 안전하다’는 평가를 내놓는다면 다른 나라들 또한 무작정 ‘반대’하기만은 쉽지 않은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 개시 이후 원전 주변에서 잡히는 어패류의 트리튬(삼중수소) 농도를 매일 조사해 공개하겠다고 밝히는 등 자국 내 여론에 대한 설득 작업에도 나선 상태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으로 폭발사고가 발생해 가동이 중단됐으나, 이후에도 사고 당시 녹아내린 핵연료를 식히기 위한 냉각수 주입과 지하수·빗물 유입 등 때문에 하루 140톤 안팎의 오염수가 원전 건물 내에서 생성되고 있다.

이에 일본 측은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란 장비를 이용해 이 오염수에서 주요 방사성 물질을 걸러낸 뒤 이를 다시 바닷물에 희석해 향후 약 30년간에 걸쳐 흘려보낸다는 계획을 마련했고,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달 4일 공개한 ‘종합 보고서’에서 이 같은 오염수 처리 방식이 ‘국제기준에 부합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알프스로 정화한 이 오염수(일본에선 ‘처리수’라고 부름)에도 삼중수소 등 일부 방사성 물질은 그대로 남아 있어 해양 생태계 등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일부에선 알프스 설비의 성능 자체 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일본 정부는 이번 한미일 정상회의 이후 내부 절차를 거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개시 시점을 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쯤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이창규 기자 yellowapollo@news1.kr <기사제공 = 하이유에스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