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신설될 예정인 재외동포청에 재외동포 전문가가 참여하고 예산도 재외동포 인구에 걸맞게 늘려야 성공적으로 출범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세계한인네트워크(회장 김영근)와 국민의힘 (김희곤 의원), 그리고 연합뉴스(사장 성기홍)는 지난 15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재외동포청 신설에 바란다’를 주제로 ‘제7회 재외동포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성곤 재외동포재단 이사장을 비롯하여 정우택 국회부의장, 김석기·태영호·조명희 국민의힘 국회의원, 정광일 재외동포재단 사업이사, 이웅길 재외미디어연합회장 등 재외동포 정책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
기조 발제에서 이종훈 시사평론가는 “동포사회에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기 위해 동포청장 또는 동포청·동포청잭 자문기구 등에 전문적 경험과 식견이 있는 재외동포 전문가가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외동포청 청사 입주 최적지로 48.9%가 서울을 꼽았고, 26.9%가 인천을 희망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732만 재외동포 가운데 한국 국적을 소지한 재외국민은 269만명으로 경상북도 인구와 비슷한데 올해 동포재단 예산은 630억원이었다”고 지적하면서, “경상북도는 전체 예산 11조원 가운데 복지예산만 2조원”이라면서 “신설되는 동포청 예산은 재외동포 인구에 걸맞게 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김소영 전 세계한인언론인협회장은 “인구절벽 시대에 고국으로 역이주하거나 취업하려는 재외동포를 위한 취업 및 정착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면 좋겠다”고 했고, 이영호 전 주예멘 한국대사는 “동포청은 무엇보다 모국과 동포사회의 상생, 해외 한인사회의 건강한 발전, 동포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한 해외 진출 확대, 인구절벽 보완을 위한 복수국적 대상 확대 및 재한동포 정책 강화 등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외 김원균 베트남 호찌민 전 한국국제학교장, 이선호 재한동포경제인연합회장, 이민호 일본 통일일보 서울지사장, 이영호 전 주예멘 한국대사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이날 정책포럼에는 주미한국대사관 워싱턴 총영사 출신인 한병길 전 아르헨티나 대사와 이현주 전 국제안보대사가 관심을 갖고 참석하였지만, 재외동포청 설립으로 가장 큰 수혜자가 될 수도 있는 250만 미주동포사회를 대표하여서는 아무도 참석하여 목소리를 내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다.

한편 재외동포청 신설을 앞두고 각 부서간 밥그릇 싸움이 치열한 가운데 재외동포청 유치에도 도시간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동안의 여론을 종합해보면 차관급인 재외동포청장은 재외동포 출신 정책 전문가가 임명 되길 원하고 있고, 200여 명에 달할 직원에는 재외동포 출신이 10% 이상 참여 할 것을 원하고 있다.
또 재외동포청 청사 유치에 가장 유력한 도시로는 인천이 떠오르고 있는데, 인천시는 일찌감치 유정복 시장을 중심으로 재외동포청 유치에 나서고 있다.
인천은 근대 이민사의 출발지라는 역사성과 대한민국의 관문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이 자리잡고 있어 수요자의 편의성에서 재외동포청의 최적지로 꼽히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전 세계의 80개 넘는 주요 항공사가 미주와 유럽 등 각국 170여개 도시에 취항, 재외동포들이 쉽게 오갈 수 있다.
유정복 시장은 지난 달 28일 윤석열 대통령을 직접 만나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건의 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