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국민, 아이폰 334만원에 사야”
= 애플 공장 있는 中·베트남 등 고율관세 부과
= “삼성전자 반사이익 가능성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로 인해 애플이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관세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아이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아이폰 같은 소비재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애플이 비용 상승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경우 미국 시장에서 가격은 30~40%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애플은 대부분의 아이폰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어 관세 피해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기존 20% 관세에 더하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추가 관세는 54%까지 오른다.
이를 적용하면 아이폰16은 현재 799달러에서 1142달러(약 165만 원), 아이폰16e는 599달러에서 856달러(약 124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가장 비싼 아이폰16 프로 맥스 1테라바이트 모델은 현재 1599달러에서 약 2300달러(약 334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
앞서 애플은 트럼프 1기 때는 애플워치, 에어팟 등 중국에서 생산되는 일부 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받았으나 이번에는 면제를 받지 못했다.
로이터 통신은 아이폰의 가격 인상은 중국보다 관세가 낮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삼성전자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등에서 스마트폰을 생산한다. 특히 베트남은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다만 CFRA 리서치의 안젤로 지노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는 비용은 5~10%를 넘기기 어려울 것이라며 “애플이 올가을 아이폰17이 출시될 때까지 가격 인상 결정을 유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3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만나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한국의 대미 투자 실적을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4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계기로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에서 루비오 장관에게 “미국의 관세조치 이행 관련 동맹에 대한 함의와 긴밀한 한미일 안보협력, 경제협력 그리고 대미투자 실적 등을 고려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루비오 장관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전해지지 않았다.
이창규,정윤영 기자<기사제공 = 하이유에스 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