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Featured

정부, 쿠바 이어 시리아와 수교 추진…’대북 압박’ 효과 기대

사진=김은정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은 시리아 다마스커스를 방문하고,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과도정부 외교장관 등 시리아측 인사들을 면담했다. 2025.02.07 (외교부 제공)
<<전문가 "수교 시 北 외교적 고립감 심화">>

정부가 쿠바와 외교관계를 수립한 데 이어 시리아와도 수교를 추진한다. 한때 북한과의 ‘친분’을 과시했던 국가들과의 연쇄 수교는 ‘대북 압박’ 효과를 예상케 한다는 분석이다.

외교부는 11일 “국제사회 동향과 시리아 상황이 구체적으로 확인됐다”라며 “환영 의사가 확인된 만큼 수교 관련 검토를 본격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수교를 추진하는 건 지난 24년간 시리아를 철권통치한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축출되고 과도정부가 출범한지 불과 2개월여만이다.

정부가 시리아에 발 빠르게 외교관계 수립 의사를 묻는 배경에는 북한에 대한 외교적 압박을 강화하려는 전략도 숨어 있단 해석이다.

<<北-시리아 관계, 알아사드 몰락과 붕괴…정부, 수교 의사 확인>>

북한과 시리아는 지난 1966년 수교를 맺은 이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다. 특히 군사적 협력이 두드러졌는데, 1990년대 초에는 ‘미사일 커넥션’으로 불리는 무기 기술 교류가 끊임없이 제기되는가 하면 2007년에는 양국 간 핵 개발 협력 의혹까지 불거지며 국제사회의 우려를 자아냈다.

그러다 지난해 12월 시리아 반군이 독재자인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몰아내면서 북한이 오랜 세월 다져놓은 양자 관계 역시 한순간에 붕괴했다.

이후 정부는 두 달 만에 김은정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을 필두로 한 정부 대표단을 시리아로 파견시켜 시리아 과도정부와 처음으로 접촉했다. 정부 대표단이 시리아에 방문한 것은 2003년 이후 22년 만이며, 우리 외교관의 시리아 방문은 1992년 장만순 당시 차관보 이후 30여년 만에 이뤄진 것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수교에 대한 시리아 측의 지지를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北 제외 모든 유엔국과 '수교'…"외교적 압박" vs "섣불러">>

정부가 시리아와 수교를 추진하는 배경에는 북한의 ‘외교적 고립’을 심화시키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

북한으로서는 지금은 과거형이 됐지만 ‘우방국’이었던 시리아가 한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할 경우 외교적으로 압박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번 수교 논의는 지난해 2월 북한의 ‘형제국’으로 불리던 쿠바와의 수교가 성사된 지 1년 만에 이뤄진 것이기도 하다.

김정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으로선 외교적 고립감이 더 높아지는 측면이 있다”라며 “쿠바와 수교할 때처럼 북한이 충격을 느낄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시리아와의 수교 추진에 대해 신중론도 존재한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시리아 과도정부가 ‘제2의 탈레반’과 같은 원리주의자가 아니냐는 일부 의혹도 있다”라며 “과도정부의 성격을 정확히 모르는 상황에서 수교를 무조건 서두르는 건 좋지 않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정윤영 기자<기사제공 = 하이유에스 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