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지구를 미국이 소유하고 현지 주민들을 해외로 이주시킨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상과 관련해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점령지 주민들의 강제 이주나 추방은 국제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유엔 인권기구(UNHR)는 “휴전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 모든 인질과 임의로 구금된 수감자를 석방하고 전쟁을 종식하며 가자지구를 재건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 과정에서 국제 인도법과 국제 인권법을 전적으로 존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볼커 튀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 또한 트럼프의 발언과 관련해 “점령지에서 주민을 추방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돼 있다”고 강조했다.
튀르크는 “자결권은 국제법의 기본 원칙이며 최근 국제사법재판소가 강조했듯 모든 국가가 보호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 전쟁으로 원자잿값 인상, 중동수주 감소 가능성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지구 점유 의사를 밝히면서 국내 건설사의 해외수주 불확실성이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으로 원자잿값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중동 수주까지 줄어들 가능성이 커져서다.
다만 국내 주요 기업이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미국 내 공장을 증설할 경우 건설 계열사의 수주 물량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일부 건설사는 국제 정세가 불안한 만큼 수주에 신중히 접근할 계획이다.
5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지지구 재건·점유 의사 소식이 전해지자 일부 국내 건설사들은 향후 해외 수주에 보수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국제 정세 불안 속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중동 수주액은 국내 전체 수주액의 50%를 차지하며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기업의 해외건설 수주액은 371억 1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4% 증가했다. 지역별 수주액은 △중동 185억 달러 △아시아 71억 달러 △유럽 50억 달러 △북미·태평양 47억 달러 등이다.
국가별 수주액은 △사우디아라비아 119억 달러 △카타르 47억 달러 △미국 37억 달러 △헝가리 27억 달러 등으로, 공사종류별 수주액은 △산업설비 243억 달러 △건축 52억 달러 △용역 38억 달러 △전기 20억 달러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해건협 관계자는 “중동에서 2015년 이후 최대인 185억 달러의 수주고를 올린 반면 국내 제조사의 미국 내 자동차·배터리·반도체 등 공장 건설은 전년 대비 줄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강화 움직임에 따라 미국 내 공장 확장 및 건설이 다시 늘 수 있다”고 말했다.
강민경,신현우 기자<기사제공 = 하이유에스 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