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Featured

[무안공항 참사 예비보고서] 조종사들 사고전 새떼 인지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예비보고서 공개 양쪽 엔진서 가창오리 깃털·혈흔 발견>>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25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와 관련해 항공기가 방위각 시설에 충돌하기 4분 7초 전부터 블랙박스 자료의 기록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사조위는 블랙박스 중단 전후 상황에 대해 사고 당일인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8시54분43초 항공기 무안관제탑과 착륙 접근을 위한 최초 교신→관제탑 활주로 01로 착륙 허가 △오전 8시57분50초 관제탑 항공기에게 조류 활동 주의 정보 발부 △오전 8시58분11초 조종사들 항공기 아래 방향에 조류가 있다고 대화 △8시58분50초 비행자료기록장치(FDR) 및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기록 동시 중단(기록중단 당시 속도 161노트·고도 498피트) △오전 8시58분56초(CVR 기록으로 계산한 시간) 항공기 복행 중 조종사는 관제탑에 조류충돌로 인한 비상선언 실시 △약 4분간 활주로 좌측 상공으로 비행하다가 활주로 19로 착륙하기 위해 우측으로 선회 후 활주로에 정대해 접근→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로 동체 착륙 후 활주 △오전 9시02분57초 활주로 초과해 방위각 시설물과 충돌 등으로 전했다.

사조위는 사고기 운항 상황 및 외부영향, 기체‧엔진 이상 유무 등을 파악하기 위해 블랙박스(비행자료기록장치(FDR),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및 관제교신 기록 등 자료를 시간대별로 동기화하고 분석하고 있다. 이는 수개월의 세부 분석과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개월의 세부 분석·검증 필요 전망”

사조위는 항공기 복행 중 조류와 접촉하는 장면을 공항 감시 카메라(CCTV) 영상에서 확인했고 엔진조사 중 양쪽 엔진에서 깃털과 혈흔을 발견했다.

국내전문기관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한 결과, ‘가창오리’의 깃털과 혈흔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발견된 시료로는 조류 개체 수나 다른 종류의 조류 포함 여부를 알 수 없다. 엔진상태 확인 및 추가 시료 채취를 위해 엔진분해검사를 위한 계획을 수립 중이다.

사조위는 잔해 정밀 조사, 블랙박스 분석, 비행기록문서 확인, 증인 인터뷰 등 항공기 운항 전반에 대해 지속적으로 분석을 수행할 예정이다.

사조위는 “앞으로도 유가족에게 사고조사 진행 상황을 가장 먼저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수렴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동안 현장에서 긴박하게 초동조치 및 조사에 임해 왔으나 이제부터는 운항·정비 등 그룹별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근차근 세부 사항을 면밀히 분석해 철저히 조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신현우 기자<기사제공 = 하이유에스 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