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Featured 워싱턴

트럼프, “틱톡금지법 발효 앞둠”, 하원 양당 의원들, “펜타닐 관련 중국 제재 법안 발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자택 마러라고에서 추쇼우즈 틱톡 최고경영자(CEO)를 만났다고 CBS방송이 18일 보도했다.

내년 1월 19일 틱톡 강제매각법 발효를 한 달여 앞두고 틱톡 측은 트럼프 당선인에게 구제를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가 틱톡 CEO와 만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16일 트럼프는 기자들과 만나 틱톡 문제를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대선 때 젊은 층에서 34%포인트 차로 승리했기 때문에 틱톡에 따뜻한 감정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대선 승리와 관련해 “틱톡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고 말하는 자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1기 때까지만 해도 틱톡을 금지하겠다고 주장했으나, 이번 대선 때는 틱톡 계정을 개설해 선거운동에 활용하는 등 우호적인 입장으로 바뀌었다.

지난주 미국 연방 항소법원은 틱톡 운영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 내 사업권을 타사에 매각하지 않으면 퇴출당하도록 하는 강제매각법에 합헌 결정을 내렸다.

이에 틱톡은 대법원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강제매각법 시행을 중단해 달라는 가처분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이는 1월 20일 트럼프가 취임하면 틱톡을 구제해줄 수 있다는 기대감에 따른 움직임으로 풀이됐다.

지난 13일 미국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중국특위)는 틱톡에 미국 사업권 매각을 촉구하며 구글과 애플을 향해 틱톡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할 준비를 해 두라고 통보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인 탓에 중국 정부가 미국인들의 개인정보를 넘겨받을 수 있다고 우려해 2022년부터 자국 공무원들의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인스타그램과 엑스(X)에 계정을 보유한 백악관도 국가 안보를 이유로 틱톡 계정이 없다.

한편, 미국 하원의 양당 의원들이 펜타닐 유입 문제로 중국을 제재하는 3가지 법안을 발의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은 멕시코 마약 카르텔이 펜타닐을 생산하는 데 사용하는 주 원료인 화학 전구체의 공급원이다.

제이크 오친클로스(민주·매사추세츠) 하원의원이 대표 발의한 이번 법안은 중국 공산당이 전구체 생산 업체에 대한 국가 보조금을 통해 미국의 펜타닐 위기를 직접적으로 부채질한 것에 책임을 묻는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중국특위)는 이 법안을 ‘중국 공산당 펜타닐 제재법’이라고 명명했다.

이 법안은 미국 당국이 불법 화학 합성물질 운반에 관여하는 선박과 항구, 온라인 유통 플랫폼과 관련된 중국 기업을 미국 은행 시스템에서 차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잇다.

오친클로스는 “미국인의 중독은 (중국) 국가가 후원하는 것”이라며 “그 기원은 정확히 중화인민공화국의 본토에서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다른 두 법안은 인신매매 조직을 교란하기 위해 미국 연방 기관들이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구축하고, 미국으로 화학 전구체를 운송할 때 공식적인 진입 경로를 표기하지 않는 중국 기업에 민사 처벌을 부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공화당은 중국이 미국인에 해를 끼치기 위해 고의적으로 합성 오피오이드인 펜타닐을 미국에 공급했다고 주장한다.

중국은 이를 강력히 부인해 왔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당국은 항상 마약 제조 화학 물질 관련 사건을 단속해 왔다”면서 “미국은 국내 마약 수요를 억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 법안은 현 의회 임기가 얼마 남지 않으 상황에서 내년 1월 3일 새 의회가 시작된 뒤 다시 상정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강민경 기자<기사제공 = 하이유에스 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