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초음속 항공기 ‘X-59’
Featured

‘서울~뉴욕 7시간’…초음속 항공기 ‘X-59’ 공개,, 美 민간 달 착륙선, 지구로 추락 중

<<기존 항공기보다 속도는 빠르되 소음은 적어 올해 말 美 전역 상공에 시험 비행 진행>>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록히드마틴과 함께 개발하고 있는 저소음 초음속 항공기 ‘X-59’가 공개됐다. X-59가 상용화된다면 서울에서 미국 동부 뉴욕까지 비행 시간은 현 14시간에서 절반으로 줄어든 7시간이 될 전망이다.

14일 나사에 따르면 ‘X-59’는 지난 12일 캘리포니아 팜데일에서 열린 록히드마틴 주최 항공 관계자 대상 행사에서 전격 공개됐다.

X-59의 특징은 기존 항공기보다 속도는 빠르되 소음은 적다는 것이다.

나사는 X-59의 음속 폭음을 일으키는 충격파를 줄이기 위해 X-59 기체 앞쪽을 비롯해 동체 또한 길쭉하게 설계했다고 밝히는 한편 속도는 음속의 1.4배, 즉 시속 925마일(약 1489㎞)이라고 전했다.

나사 측은 올해 말부터 미 전역 도시 상공에 X-59 시범 비행을 진행하고, 그에 따른 소음과 사람들의 소음 인식 정도를 측정할 예정이다. 이후에는 해당 데이터를 연방항공청(FAA)과 국제 규제 기관에 제출할 계획이다.

나사 측은 “X-59는 우리가 여행하는 방식을 바꾸고 훨씬 더 짧은 시간에 우리를 가깝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쏘자마자 연료 누출…美 민간 달 착륙선, 지구로 추락 중))

반세기 만에 달 착륙을 시도했다가 발사 7시간 만에 연료 누출 문제가 불거진 미국의 민간 달 착륙선이 지구를 향해 추락하고 있다. 충돌 전 대기권에서 연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AFP통신에 따르면 무인 달 탐사선 ‘페레그린’을 개발한 우주로봇 개발사 아스트로보틱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최근 보고에 따르면 (페레그린이) 지구로 향하는 경로를 타고 있으며 지구 대기권에서 연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아스트로보틱은 지난 8일 유타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가 만든 신규 로켓 ‘벌컨 센타우르(벌컨)’에 페레그린을 탑재해 오전 2시18분쯤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기지에서 발사했다.

이후 페레그린은 로켓에서 분리된 직후 기내 폭발이 발생했고, 이로인해 추진체가 손실되며 목표했던 ‘달 착륙’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페레그린은 지금까지 5일 이상 우주를 비행했으며 현재는 지구에서 39만㎞ 떨어진 곳에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페레그린 안에는 과학 하드웨어 외에도 스포츠음료 캔·실물 비트코인·인간과 동물의 유골 및 DNA 등 개인 고객을 위한 물건들이 실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상업용 달 탑재체 서비스’라는 실험 프로그램에 따라 물건 운반 대가로 1억 달러(약 1320억 원) 이상을 아스트로보틱에 지불했다. 상업용 달 경제(Lunar economy)를 활성화하고 간접 비용을 줄이기 위한 실험이었다.

NASA 관계자는 비록 이번에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더 많은 슈팅”이 더 많은 득점 기회를 의미한다는 전략을 분명히 밝혔다. 연이어 오는 2월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발사다.

이번에 고배를 마신 아스트로보틱은 오는 11월, 달 남극으로 향하는 NASA의 극지험 로버(바이퍼) 탐사선을 탑재한 그리핀 착륙선으로 재도전에 나선다.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권진영 기자 <기사제공 = 하이us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