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다 히트”.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LG전자의 ‘이 제품’을 보자마자 올해의 히트상품 예감에 철 지난 유행어가 떠올랐다. 8일(현지시간) 사전 공개에 1000여명이 넘는 청중이 홀렸던 만큼 기대 역시 컸다.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 ‘CES 2024’ 개막을 하루 앞둔 이날 찾은 LG전자(066570) 부스에서는 15대의 ‘LG 시그니처 올레드 T’가 등장했다. 겨울나무, 오로라 등 다양한 모뉴먼트(기념물) 영상 송출과 함께 좌우, 앞뒤로 움직이며 현장을 압도했다.
LG전자에 따르면 ‘올레드 T’는 77형 크기의 투명 TV다. 무선 AV 송∙수신 기술로 설치 장소의 제약도 줄였다. ‘투명 모드’, ‘블랙 스크린 모드’ 등 두 가지 화면 모드로 맞춤형 시청 경험도 제공한다.
오혜원 LG전자 HE사업본부 브랜드커뮤니케이션팀 상무는 “투명이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고객의 삶에 어떤 영향을 줄지를 생각해 만든 제품”이라며 “반경 10m 안에서 작동하는 제로 커넥트 박스로 선을 없애 (제품 가치를) 한층 배가시켰다”고 설명했다.
(LG전자 사전 부스 투어에 캡슐 커피머신 ‘듀오보’가 전시돼 있다.)
이번 전시관 곳곳에는 올레드 TV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았다. 기본적으로 투명 화면 뒤로 벽지 패턴, 소품 등을 배치해 뒤를 훤히 볼 수 있게 콘셉트를 구성했다. ‘인테리어 가구’라는 말이 실감됐다.
블랙 스크린 모드를 활성화하자 “좀 전까지 투명 TV였나?” 할 정도로 일반적인 올레드 TV와 별반 차이가 느껴지지 않았다. LG전자 자체 모터기술을 통해 완전히 빛을 막아주는 차광막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오 상무는 “투명 마이크로 LED가 ‘기술’이라면 올레드 T는 ‘제품’이라는 차이가 있다”며 “투명도에선 마이크로 LED가 앞선다는 평가가 있지만 LG 올레드 T는 50%의 투명도에도 4K 화질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요 프리미엄 시장인 한국에 먼저 제품을 출시하고 연내에 선보일 예정”이라며 “깜짝 놀랄 정도의 가격으로 출시되진 않을 것이고 롤러블보다 좀 더 대중적인 상품이 될 것”이라고 했다.
올레드 T만큼이나 두 바퀴로 움직이는 로봇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도 눈길을 끌었다. 이 로봇은 미래의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을 제시하는 ‘스마트홈 전시존’에 상주한다.
AI 에이전트는 LG전자 생활가전 사업의 목표인 ‘가사 해방’ 실현을 목표로 나왔다. 사용자의 상황과 상태를 정교하게 인지하고 능동적으로 소통하고 가전도 제어한다.
이날 스마트홈 존에서는 시연을 담당한 ‘제시카’가 문을 열고 나오자 ‘에이전트’가 눈을 반짝거리며 뒤 따라 나왔다.
반려묘가 화분을 엎지르는 사고를 치자 사진을 찍어 제시카에게 전달하고, 기침하는 제시카에게 휴식을 제안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3대의 에이전트가 합동 축하공연을 펼치며 관람객들의 호응을 이끌기도 했다.
이 밖에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인 ‘LG 알파블’의 시연 세션도 볼 수 있다. 또 LG 랩스의 듀오보, 본보야지, 듀크박스 등 실험적인 제품들도 대거 전시됐다.
(라스베이거스=뉴스1) 강태우 기자 <기사제공 = 하이us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