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쿠바 체게바라
Featured

한국, “미국보다 먼저 쿠바와 수교”… 日언론, 높은 관심

한국이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북한 형제국’으로 칭해지는 쿠바와 공식 외교관계를 맺었다고 깜짝 발표함에 따라 쿠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쿠바는 1946년에 대한민국을 정식 국가로 승인했지만, 1959년 피델 카스트로의 사회주의 혁명 후 양국 교류는 단절됐던 터다. 2000년 김대중 정부 당시 쿠바에 수교 제안을 했고 2024년에 결실을 맺었으니 양국 수교까진 20년이 넘는 세월이 걸렸다.

이렇게 긴 세월이 걸린 데에는 양국 체제 및 북한과의 관계가 작용한 것으로 알려진다. 한국은 미국과 동맹 체제인 데다 북한과의 관계가 전반적으로 껄끄러운 반면, 미주 대륙의 유일한 공산국가이자, 반미(反美) 기조를 중심으로 북한과 가까웠던 쿠바는 서로가 밀접한 관계가 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했다.

특히 한국과 미국 모두 2016년께 쿠바에 대한 적극적인 관계 개선 움직임이 있었는데, 이번 수교로 인해 한국이 미국보다 먼저 ‘골’을 넣은 셈이 됐다. 당시 박근혜 정부의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한국 외교부 장관으로서는 처음으로 쿠바를 방문해 쿠바 외교장관과 회담을 갖고 강력한 양국 수교 의사를 전달했다.

미국도 쿠바와의 관계 개선에 애써왔다. 쿠바가 미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바로 밑에 위치한 국가인 만큼 미국으로선 쿠바가 ‘목에 걸린 가시’와 같았다.

양국은 1902년에 수교했으나 1959년 쿠바의 공산 혁명 이후 관계가 악화해 1961년 단교했다.

미국과 쿠바 간 관계 개선은 당분간 요원해 보인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 또한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 간 재대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누가 승리하든 쿠바와의 관계 진전을 이루기에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일본 언론들은 대체로 한국이 외교적으로 북한을 고립시킬 목적으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분석했다.

요미우리신문은 “한국이 북한의 외교 기반 허물기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15일 논평했다.

아사히신문은 한국과 쿠바의 수교가 “‘글로벌 중추 국가’를 외교 전략으로 내세워 국제무대에서 영향력 강화를 도모하는 한국에 있어 큰 성과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15일 낮 현재,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지만 이후 반발이 예상된다”고 예측했다. 매체는 김 총비서가 과거 디아스카넬 대통령을 “전우”라고 부른 적도 있다고 짚으면서도 “단, 북한은 러시아 등과의 관계도 심화시키고 있어 실질적인 영향력은 한정적일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조소영, 권진영 기자 <기사제공 = 하이유에스 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