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Featured 워싱턴

‘미주한인 이민 121주년’ 기념식, 연방의사당에서 성료

박로사, 이은애, 서정일, 헤롤드 변(시계방향)

미주한인 이민 121주년 기념 및 ‘제19회 미주 한인의 날’ 기념식이 10일 오전11시 워싱턴DC에 소재한 연방의회 캐논빌딩 코커스 룸에서 미주한인재단 워싱턴(회장 로사 박) 주최로 개최됐다.

미주한인회총연합회(총회장 서정일) 소속 50여 명의 한인회장들도 원근 각지에서 참석하여 성황을 이룬 이날 기념식은 미 주류사회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가해 함께 문화 공연을 즐기며 굳건한 한미동맹 강화에 기여했다.

‘미주한인의 날’은 미주로 이민한 선조들의 개척정신과 애국심을 선양해 상호 단결을 도모하고 미국사회에 대한 기여와 한미 간의 우호증진을 위해 1903년 1월 13일 하와이로 이민한 첫 도착일을 기점으로 미국 연방의회가 법률로서 제정한 공식 기념일이다.

200여 명이 홀을 가득 채운 가운데 진행된 기념식은 해나 김(전 백악관 비서실 아태계 고문)의 사회로 정세권 (전 미주한인재단 회장)의 개회사, 권기선 소프라노의 한미국가 제창, 백 신종 벧엘 교회 주임목사의 개회기도, 헤롤드 변 (버지니아 법무장관 선임보좌관)대회장의 환영사, 로사 박 회장과 이은애 이사장의 인사가 있었고, 조기중 총영사는 윤석열 대통령의 축사를 대독했다.

이어서 롭 위트만 연방 하원의원(VA), 미셸 스틸(CA) 메릴랜 스트릭랜드(WA), 지니 고메스(CA) 연방하원의원과 탐 데이비스전 연방하원의원(VA), 박충기 (메릴랜드 행정 법원장), 서정일 (미주한인회 총연합회 회장)의 축사가 있었다.


(사진) 왼쪽부터 헤롤드 변, 탐 데이비스, 아브라함 김, 미셸 스틸, 메릴랜 스트릭랜드

탐 데이비스 (전 연방하원의원)와 아브라함 김( CKA,미주한인위원회 사무총장) 의 ‘미국 내 한인의 지위와 우리의 독특한 역사가 미국 사회와 미국의 세계적 위상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주제의 강연에서’한국계 미국인은 미국 사회와 경제에 기여하면서 동시에 문화 다양성과 교육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미국이 글로벌 무대에서 강력한 입지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국의 고유한 역사는 다문화 사회로서의 미국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성’을 강조했다.

한인 리더십상에는 다큐멘터리 영화  ‘Beyond Utopia’ 공동 제작자인 수미 테리 (윌슨센터 아시아 국장)대신해 모친인 이은애씨가 받았고, 장학금은 레첼 리와 장주항, 감사장에는 김묘선(중요무형문화재 승무명인) 씨가 받았다.

이날 무대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명인 김묘선 선생의 ‘살품이 춤’과 정수경(한국전통예술원 원장), 이가원, 이석원 국악인들의 화랭이 친구춤 공연이 화려하게 펼쳐졌다. 또한 행사장에는 민화와 한복 한인 이민사 사진들이 전시되어 분위기를 돋구었다.

로사 박 회장은 인사말에서 ‘제19회 미주 한인의 날’ 행사를 준비하며 책임감과 도전이라는 두 단어를 강조하면서, “미 주류사회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조직력과 정치적 참여로 우리 미주한인의 영향력을 키우므로써 차 세대에게 미주한인으로 자부심과 미주류 사회를 리드하는 지도자로 세우자”고 했다.

그는 또 “미국의 글로벌 시대에 기여하며 한미간의 가교 역할을 어떻게 수행해야 할지에 대한 과제가 우리의 도전이고, 우리는 선조들의 희망의 역사에 저희들이 꿈꾸던 이민의 역사를 덧 입혀 우리 다음세대에게 전달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미주총연 제30대 서정일 총회장은 축사에서 “우리는 이민 선조들의 유업을 이어 받아 자라나는 2, 3세대들로 하여금 한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그들을 미주류사회에 당당히 나아가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면서 “미주동포 상호간의 단결을 통해 한미 간의 이해와 우호증진, 그리고 조국의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가자”고 했다.

하이유에스코리아 윤영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