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Featured 워싱턴

NAKASEC, 이민자 권익 보호를 위한 연방의회 전화 걸기 운동 확대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 NAKASEC (미교협)은 매주 목요일, 이민자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연방의회 전화 걸기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 활동은 온라인 줌을 통해 진행되며, 이민자 보호와 권익 향상을 위한 다양한 이슈에 대해 연방의원들에게 의견을 전달하는 자리이다.

최근, 미교협은 ‘이민자도시 구제금지 법안(HR32)’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이 법안은 친이민 성향의 도시들에 대해 연방 기금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지역 정부가 이민단속국의 불합리한 정책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의료, 교육, 필수 서비스 등 중요한 자금을 받지 못하게 된다.

이 법은 시민을 보호하는 모든 도시와 주를 처벌하는 방식으로 이민자 보호 도시들의 기능을 마비시키려 한다. 또한, 연방정부가 특정 공동체를 대상으로 불공정한 범죄 처벌을 시도하며, 필수 자원을 박탈하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미교협 민권센터의 김갑송 국장은 “HR32는 단순한 정책이 아니라, 우리의 정신적, 정서적 건강을 위협하는 공격”이라며, “이 법이 제정되기 전에 저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 법은 우리 공동체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인종 표적 수사를 확대시킬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미교협은 이에 대해 전국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 온라인 연방의회 전화 걸기 활동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단속은 이제 합법적인 신분을 가진 사람들에게도 확대되고 있다. 초기에는 서류미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단속이었지만, 현재는 시민권자들에게까지 그 범위가 확장되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첫 임기 때 시민권 박탈위원회를 구성해 1,600여 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매년 평균 20명의 시민권을 박탈했다. 이번 임기에서도 불법 행위를 저지르거나 거짓 진술을 한 시민권자들은 시민권 박탈 대상이 될 수 있어, 이민자와 관련된 정책의 변화가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교협 (National Korean American Service & Education Consortium)은 이번 전화 걸기 활동을 통해 이러한 법안들을 막고, 이민자들의 권익을 지킬 수 있도록 힘쓸 계획이다.

하이유에스코리아 윤영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