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닭고기 등 29개 품목 15%·돼지고기 등 711개 품목 10% 인상 본격 협상 시작 안돼
= 상무부장 “적당한 시기 만날 수 있어” 여지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10+10%’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10일 0시(중국시간)부터 미국산 농·축산물을 대상으로 추가 관세 부과를 시작했다. 지난달 10일부터 이뤄진 1차 보복 관세에 이은 추가 보복 관세로, 미중 무역 갈등이 뚜렷한 출구를 찾지 못한 채 고조되는 모습이다.
앞서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4일 “국무원의 승인에 따라 오는 10일부터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부터 새로 미국산 제품에 부과되는 관세는, 닭고기와 밀, 옥수수 등 29개 품목에 대해 추가 15%다. 미국산 대두와 돼지고기, 쇠고기, 수산물, 과일, 채소, 유제품 등 총 711개 품목에 대해선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펜타닐 문제를 이유로 지난 4일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기존 10%의 관세에 이어 10%의 추과 관세를 더 부과한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중국은 지난달에도 미국의 10% 관세 부과(4일 발효)에 맞서 미국산 석탄, LNG 등에 15%의 관세를, 원유·대배기량 자동차 등에는 10%의 관세를 부과키로 하고 이를 같은 달 10일부터 적용해오고 있다.
이와 관련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양회 기간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지난 몇년간의 관세 전쟁에서 무엇을 얻었냐고 반문하며 “무역 적자가 확대됐는지 아니면 축소됐는지, 제조업 경쟁력이 올랐는지 아니면 떨어졌는지, 인플레이션이 호전됐는지 아니면 악화됐는지, 국민들의 생활이 개선됐는지 아니면 나빠졌는지를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중국이 관세 대응을 주고받았으나 본격적 협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다만 중국은 여전히 대화와 협상 의지를 내보이며 전면적인 무역 전쟁에 대해선 신중한 모습이다.
왕원타오 상무부장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협박·위협은 중국에 통하지 않는다”면서도 “양국은 적당한 시기에 만날 수 있고, 양국의 팀 또한 조속히 소통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은지 특파원<기사제공 = 하이유에스 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