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Featured 워싱턴

[LA 산불] 5명 사망, 15만명 대피…”메마른 숲이 땔감 됐다”

시속 129㎞ 강풍·인력부족·소화전 고갈 등으로 진압에 어려움
진압률 0%·학교 수백곳 휴교…사상 최악의 산불 될 거란 전망도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산불 5건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최소 5명이 사망했다. 산불로 불탄 총 면적은 여의도 면적(290헥타르)의 약 37배인 1만 684헥타르(약 106.8㎢)다.

7일 LA 서부의 퍼시픽 팰리세이즈에서 발생한 팰리세이즈 산불은 팰리세이즈 동쪽의 말리부와 서쪽의 산타모니카까지 확산했다. 팰리세이즈 산불은 지금까지 총 6394헥타르를 태우고 최소 1000개 이상의 건물을 파괴해 LA 카운티에서 발생한 산불 중 파괴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기록됐다. 이 산불로 인해 4만 4800여명에 대피령이 내려졌다.

LA 동부 패서디나에서 발생한 이튼 산불도 빠르게 확산해 총 4290헥타르를 태웠다. 이로 인해 100개 이상의 건물이 파괴됐으며 10만 7000여명에 대피령이 내려졌다.

LA 동북부에서도 허스트 산불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3300여명에 대한 대피령이 내려졌고 적어도 202헥타르가 불탔다.

이 외에 팰리세이즈 북부 산페르난도 밸리에서 우들리 산불이, LA 동북부 산타클라리타에서 리디아 산불이 8일 발생해 각각 12헥타르, 20헥타르가 불탔다.

이번 산불의 원인이 기후 변화에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현지시간) CNN과 BBC에 따르면 캘리포니아대학 LA캠퍼스(UCLA)의 기후학자 다니엘 스웨인은 최근 날씨 패턴의 갑작스러운 변화가 산불을 촉발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스웨인은 “지난해 겨울은 극도로 습해 풀과 관목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며 “이러한 생태계는 화재에 많은 땔감이 됐다”고 부연했다.

과학자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고온 건조한 기후가 이번 LA 산불을 부추겼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들은 기온이 따뜻해질수록 강수량이 적어지며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전했다. 캘리포니아주는 지난여름 기록적인 폭염을 지낸 후 최근 몇 달간 강수량 부족에 시달렸다. 지난해 10월 이후 내린 비는 0.4㎝에 불과했다.

이번 산불이 역사상 최악의 산불이 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도 나왔다. LA 캘리포니아대 기후과학자 다니엘 스웨인은 “팰리세이즈 산불이 캘리포니아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피해가 가장 큰 산불이 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현재까지 미국 역사상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한 산불은 2018년 캘리포니아 북부의 작은 마을인 파라다이스 마을에서 발생한 캠프 산불이다. 이 산불로 인해 85명이 숨졌고, 캠프 산불 다음으로 피해가 가장 큰 산불 7건으로 파괴된 건물을 모두 합한 것보다 많은 건물이 파괴됐다.

김지완,정지윤 기자<기사제공 = 하이유에스 코리아 제휴사,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