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인 밀집 지역인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카운티가 추가적인 수익원을 창출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식사세(Meal Tax) 도입을 위한 투표를 가질 예정이어서 자영업자들 특히 한인 식당 업주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이 지역에서 성업 중인 한인 식당 업주는 400~500여 명으로 추산되고 있어 만약 이 법안이 통과되면 워싱턴 동포사회에도 적지 않은 충격을 줄 전망이다.
이 세금은 1%에서 6% 사이로, 레스토랑과 식료품점에서 준비된 음식과 음료에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이 법안이 통과 된다면 세금은 소비자의 몫이 되겠지만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담은 오롯이 소상공인에게 귀착된다.
기자가 확인한 바, 한인 상권이 밀집되어 있는 애난데일 장원식당과 센터빌 미련곰탱이 식당의 경우 기존 음식값에서 주정부에서 부과한 6%의 세일즈 택스를 고객으로부터 받고 있었다. 만약 여기에 1~6%의 밀택스가 부과 된다면 택스만 무려 10% 이상으로, 이는 소비자나 소상공인에게는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오게 되어 있다.
예를들어 10달러짜리 설렁탕이나 짜장면을 먹었다면 소비자는 세금 1달러 이상, 그리고 팁 2달러(20% Tip)를 포함하여 최소 13달러 이상을 지불해야 한다. 팁이란 미국에서만 있는 문화적인 제도로 한국인들에겐 무척 낯설지만 보통 20%정도 지불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음식값이 10,000원이다면 만원만 지불하면 되지만 미국에서는 13,000원 정도를 지불해야 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겠다.
최근 한인 식당가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 생산지의 노동력 부족과 물류대란 등으로 식자재 값이 엄청 올라갔지만 다시 내려 올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음식값이 천정부지로 올라가 있다.
“갈비탕 20달러, 비빔밥 17달러, 순두부찌개 18달러, 육개장 18달러, 비빔냉면 18달러, 순대국밥 15달러”
과거에 비해 억! 소리나게 비싼 이 차림표는 한인타운 내에 있는 한인식당들의 주요 메뉴로 코로나 이전보다 거의 두 배 가량 오른 가격이다.
전국요식협회(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에 따르면 식품 원자재 값 인상이 식당 음식값 인상의 가장 큰 요인이다고 분석했다.
버지니아 센터빌 ‘미련곰탱이’ 강하석 사장은 “코로나 이후 계속되고 있는 불경기에 식자재 값과 인건비 인상에 따른 식당 운영의 어려움으로 많은 식당들이 고초를 겪고 있고 문을 닫고 있는 식당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면서 “만약 밀택스까지 부과 된다면 식당업주들에겐 엄청난 타격이 예상된다. 속히 한인요식협회가 창립되어 단체의 힘으로 밀택스 결의안을 무효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실 필자는 계속해서 ‘워싱턴요식협회’ 창립을 서두를 것을 요청하고 있었다.
현재 미주 다른 지역에서 일찌감치 협회가 창립되어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을 비추어 볼 때 많이 늦은 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조지아 아틀랜타를 중심으로 한 ‘미동남부한인외식협회’는 해마다 코리안 바베큐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한식을 미 주류사회에 알리고 있고, 골프대회를 통해 장학 기금도 전달하고 있다. 그 밖에 뉴욕한인요식협회, 서북미요식협회(시애틀), 오리건요식협회, 콜로라도한식요식협회도 ‘북미주한식세계화총연합회 세미나’에 참석하는 등, 그 지역 동포사회에서 중요한 단체로 인정 받고 있는 실정이다.
요식협회가 창립되면 이와 같은 결의안 저지 뿐만 아니라 ▼ 공도구매를 통한 원가 절감 ▼ Uber와 같은 배달업체 공동 대응 ▼ 쓰레기 수거 업체, 소독, 전기, 가스업체 공동계약 ▼ 크레딧카드 프로세싱 결제 대행을 통한 금액 인하 ▼ 단체 보험 가입을 통한 보험료 절약 ▼ 보건국, 경찰국, 소방국 등 지역 정부기관과의 협력 강화 및 교육 실시 등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고, 특히 지난번 처럼 동포사회를 불안하게 했던 연쇄 절도 사건이 다시 일어난다면 조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미국 워싱턴 D.C. 소재 ‘전미 요식업소협회(NRA)’ 가입을 통해 많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또 한국 농수산유통공사, 한식진흥원, 한식재단에도 정식 가입하여 지원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페어팩스 카운티 유권자들은 과거 두 번이나 식사세 아이디어를 거부한 바 있다.
가장 최근에는 2016년에 델리, 레스토랑 및 편의점에서 준비된 식사에 대한 4% 세금이 통과되지 못했다. 그러나 2020년에 채택된 버지니아 주 법에 따르면, 관할구역이 유권자의 의견 없이 식사세를 도입할 수 있다.
식사세 도입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은 9월 이후에 내려질 예정이다.
시간이 없다. 서둘러 협회를 창립하여 조직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대처해야 겠다.
하이유에스코리아 강남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