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유에스코리아뉴스

이은애 영양학교수 건강칼럼

강남중 기자



뭉친 피를 풀어주고 니코틴을 제거하는 연근(Lotus Root)

공원이나 산책길 혹은 들녘 연못에 고고하게 피어오른 연꽃(Lotus Roots)을 종종 볼 수 있다. 지저분한 흙탕물 속에서 피어나지만 맑고 성스러운 자태의 연꽃은 세속적인 욕망에 오염되지 않은 인간 본래의 불성(佛性)을 들어 내는  꽃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연꽃은 연못이나 논에서 재배되는 연꽃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수초로, 주로 아프리카나 중국, 그리고 서남아시아 일대 재배되며 숭앙받고 있다. 건강, 장수, 명예, 행운, 군자 등을 의미하는 연은 불교에서는 극락세계를 상징한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연을 아주 귀하게 여겨 잎과 열매, 뿌리 모두를 약재 혹은 식용으로 사용해왔다. 그 중에서도 연꽃의 뿌리에 해당하는 연근과 연꽃의 열매인 연밥이 주로 사용되는데, 특히 연밥은 한방에서 자양제, 피로회복, 신경안정에 탁월한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은 열매와 잎, 뿌리 모두를 사용하는데 주로 식용되는 것은 연근이다. 연꽃은 흰색이나 분홍색으로 피어나는데, 흰색 꽃이 피는 연근은 날것으로 섭취해도 맛이 좋으며 분홍색 꽃이 피는 연근은 주로 조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둥근 방패 모양으로 물 위에 떠오르는 연잎은 주로 어린잎만을 식용하며, 연꽃 씨는 약선 요리나 과자재료 등에 사용된다. 음식으로서뿐 아니라 연꽃의 잎, 뿌리, 열매 등은 모두 훌륭한 약효를 가지고 있어 한약제로도 쓰이고 있다.

근래 들어 연근은 식품연구가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섬유질이 많은 채소는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섬유질이 연근에 아주 풍부하기 때문이다. 영국의 한 의사는 세계적으로 이름난 아프리카 장수족인 ‘반투족’을 연구한 적이 있었는데, 그는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는 식생활이야말로 건강한 몸을 유지시키는 비결이다”라고 보고한 바 있다.

연근의 주성분은 당질이지만 대부분이 섬유질과 녹말로 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다른 채소에 부족한 비타민B12와 단백질, 그리고 비타민C가 풍부한 편이다. 연근을 자를 때 생기는 끈끈한 성분은 ‘뮤신(Mucin)’이라는 물질인데, 이것은 단백질의 소화를 증진시키고 위벽을 보호한다. 또한 지혈효과도 뛰어나 갑작스런 자궁출혈이나 대변출혈, 소변출혈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특히 애연가에게 있어 연근은 아주 이로운 식품이라 할 수 있다. 연근이 니코틴을 제거해 해독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단, 만성설사에 시달리는 사람이나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과잉 섭취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연근을 썰어두면 그 단면이 공기와 접해 거무스름하게 되는데 이것은 연근에 함유된 철과 탄닌에 의해서다. 이 두 가지 성분은 궤양의 상처에 효력이 있으며, 또한 지혈과 빈혈 등에도 효과가 있다. 연근이 거무스름하게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연근을 썰자마자 즉시 식초 물에 담갔다가 조리하면 된다. 그러면 빛깔도 하얗게 깨끗해지며 씹는 식감도 훌륭해진다.

• 상식
- 연근과 요구르트를 함께 섭취하면 혈액 정화 효과가 커져 스트레스 지수를 낮추고, 과로로 코피가 잦거나 두통이 있을 때에도 도움이 된다.
- 싱싱한 연근 고르기 : 양쪽에 마디가 있으며 너무 굵지 않은 것이 싱싱하다. 길이가 길고 몸통이 굵으며 들어보아 무게를 느낄 수 있는 것을 고른다. 또한 몸에 상처가 없고 껍질이 얇은 게 좋다.


Number Title Date
132
이은애의 식품영양 컬럼을 마감하며
2023.02.04
131
"식생활 지침 10가지" <식품을 통해 병을 얻을 수도 있고 치료할 수도 있다.>
2023.01.21
130
구수한 맛, 감칠맛을 내는 지 미 료( 旨味料; flavor enhancer).
2022.12.31
129
우린 국물(다 시 마;Tangle)
2022.12.24
128
추어탕의 향신료 산초(Chinese pepper)
2022.12.10
127
인간이 만들어낸 최고의 산미료
2022.11.26
126
비타민B12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젓 갈(pickles sea foods)
2022.11.05
125
음식의 간을 맞추는 기본양념 간 장(soy sauce)
2022.10.24
124
밭에서 나는 고기 된 장 (soybean paste)
2022.10.09
123
단맛을 나게 하는 기본조미료 설 탕(sugar)
2022.09.25
122
위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식욕증진에 효력이 있는 후추(black paper)
2022.09.11
121
뇌 기능에 향상에 도움을 주는 요구르트 (yogurt )
2022.09.04
120
식생활 문화의 기초인 소금 1 (salt 1 )
2022.07.16
119
버터(Butter)와 크림(Cream)
2022.07.02
118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치즈(Cheese)
2022.06.18
117
완벽한 영양균형_우유2(Milk_2)
2022.06.04
116
정신신경안정제로서 수면에 도움을 주는 우유 1 (Milk1)
2022.05.21
115
신선하게 알고 섭취하기, 달걀_3(Egg_3)
2022.04.16
114
항암, 항균 식품 달걀-2(Egg- 2)
2022.04.02
113
식탁 위의 불로초 달걀- 1(Egg1)
2022.03.19
112
체온과 호르몬 생성을 조절하는 동물성 유지(Fat)
2022.03.05
111
비타민 흡수를 촉진하는 식물성 유지 -2(Oil- 2)
2022.02.20
110
안정성이 뛰어난 식물성 유지-1(Oil-1)
2022.02.05
109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참새고기, 정력에 좋은 메추라기
2022.01.22
108
독을 풀어주는 거위(Goose) // 설사를 멎게 하는 꿩(Pheasant) 고기
2022.01.09
107
사슴고기(Venison) // 노화를 방지하는 말고기(Horse)
2021.12.27
106
기운을 북돋아 주는 염소고기(Goat)
2021.12.11
105
우울증에 효력이 있는 칠면조고기(Turkey)
2021.11.20
104
피부미용과 기력회복에 효력이 있는 양고기(Lamb)
2021.10.31
103
면역력 강화에 효과적인 오리(Duck)
2021.10.16
***** 칼럼의 내용은 본 신문사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