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장식품 미꾸라지(Mudfish)

강장식품으로 알려져 있는 미꾸라지(Mudfish)는, 예부터 서민들이 즐기던 몸보신 식재료로 유명하다. 가을 추수를 끝내고 난 뒤 서민들은 동네 저수지나 도랑에 나가 미꾸라지를 잡아 추어탕을 끓여 지친 몸을 달래곤 하였다.
미끈미끈 한 비늘을 가지고 있어 미꾸라지라고 불리고 있는 미꾸라지과에 속하는 담수어로서 아시아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하천, 호수, 논 과 늪 등에 서식하고 있으며 몸길이가 약 20cm이다.
미꾸라지는 한국인의 식생활에 결핍되기 쉬운 미네랄(칼슘(Ca), 인(P), 철분(Fe) 등)의 공급원이 될 뿐 만 아니라, 단백질, 지질 그리고, 비타민A, B2, D 등 이 함유되어 있어 원기보충, 피로회복, 빈혈증, 골다공증 예방 등의 효력이 있다. 그래서 한국인이 즐겨 섭취하는 추어탕은 미꾸라지 전체를 함께 끓여 조리 하므로 일반적으로 부족 되기 쉬운 비타민 A 와 D를 섭취 할 수 있어서 우수한 영양식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미꾸라지의 알과 난소 에 비타민A 와 D 가 많이 함유되어있다. 성인의 경우에 비타민A가 결핍하게 되면, 눈의(결막) 건조, 각막 연화, 눈의 시력 약화 등 주로 눈 의 이상 이 생기게 되고 피부에 모공 각화증 이 발병한다. 그리고 어린이들에게는, 호흡기질환, 입맛 상실과 피부 조직에 부스럼이 생긴다. 이외에도 유아에게 비타민A가 부족이 하게 되면, 야맹증 그리고 영양실조나 심환 질병에 걸리기가 쉽다. 비타민D는 뼈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칼슘이 부족 한 식생활에 필요한 영양소이다.
근래의 의학 연구 에 의하면, 미꾸라지를 간염 환자에게 실험한 결과 간장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 시켰다는 임상보고가 있다. 미꾸라지는 소갈증을 없애주므로 당뇨병 환자에게도 아주 좋은 식품이다.
미꾸라지 탕 은 한방에 의하면, 빈혈증, 위장 장애, 식욕 상실, 그리고 과음에 의하여 간장이 나빠졌거나 정력 이 감퇴된 사람에게 효능이 있으며 또한, 이뇨제 의 역할 과 설사 을 멎게 한다. 이외에도, 미꾸라지와 두부를 함께 삶아 섭취하면 황달에 효력이 있다는 민간요법이 있다. 두부를 먼저 끓는 물에 푹 삶은 후에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미꾸라지를 넣고, 충분히 끊인 후 섭취하기 직전에 파, 생강 등을 넣으면 맛있고 영양이 있는 음식이 된다.
미꾸라지는 굵은 것이 상품이므로 굵은 것을 선택하여 기호에 맞게 요리하여 소화시키는데 부담을 주지 않는 한도 내에서 소량으로 자주 섭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식 - 미꾸라지를 “탕”으로 조리 할 때에는 산채로 소금물에 여러 번 씻는다.
- 후추, 고춧가루, 산초 가루 등을 이용하면 추어탕의 비린내를 없앨 뿐만 아니 라, 맛을 한결 돋구어 준다. 또한, 식용유 2-3방울 떨어트려 씻어서 마른 수건 에 닦으면 미꾸라지 의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다. 또한, 추어탕에 파, 고사리, 배추, 우거지 등 의 채소를 넣을 때 호박순 을 함께 넣으면 비린 맛이 완전히 가신다.
★ 미꾸라지를 곰탕으로 섭취하여도 좋으나 한방 요에 의하면, 황기와 인삼을 함께 넣어 섭취하면 “추어 삼기 탕”이 된다. 이것은 비, 위장이 허약하여 기운이 없고 몸이 마른 사람에게 보양 식품이 된다.
◎ 어패류를 매개로 하는 기생충
1) 간흡충(간디스토마)
(가) 본 기생충이 기생하는 민물고기(붕어, 메기, 잉어, 명주, 우렁이 등)를 날로 먹었을 때 감염된다. (나) 간이 붓고, 배에 물이 차는 복수증이 발병하며, 황달, 빈혈, 야맹증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다) 민물고기를 날로 먹지 말고 가열해서 먹도록 한다.
2) 폐흡충(폐디스토마)
(가) 민물고기(가재, 참게, 다슬기)를 날로 먹었을 때 감염된다.
(나) 기침과 혈담(피가 섞인 가래)이 생긴다. 혈담은 녹슨 쇠의 색과 비린내가 난다.
(다) 간흡충의 경우와 같이 민물고기의 생식을 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