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일 프로필
뉴욕 K 라디오 방송위원, 재외동포저널 이사, 하이유에스코리아 칼럼니스트
반만년 역사에서 제 1대 사건 3.1 운동
단재 신채호 선생은 조선역사 1천년 래 제1대 사건이란 표현을 썼다. 선생은 이를 ‘묘청의 난’이라고 했는데 금(金)나라를 정벌하자고 주장한 묘청의 자주적인 기상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이는 3.1운동이 일어나기 전의 평가다. 우리 민족 반만년 역사에서 가장 큰 사건으로는 세종의 한글 창제 등 여러 의견이 있겠지만, 가장 의미있게 꼽을 수 있는 사건이 3·1운동이라 견해가 학계를 중심으로 설득력 있게 퍼져 있다.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 독립국임을 선언하고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위운동을 전개한 사건한다. 40여 일 만인 4월 11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민족의 역사가 완전히 뒤바뀌었다.. 군주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바뀐 것이다. 단군 고조선부터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우리 역사는 군주의 역사였다. 국민 주권의 역사로 뒤바뀌는 민족사의 대전환이 일어난 것이다. 민족의 역사를 완전히 뒤바꾸어 놓은 사건, 그것이 3·1운동이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였다. 그리고 일제의 식민 무단통치를 분연히 거부한 평화운동의 시작 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3.1정 당일 서울 종로 탑골공원에서 열린 102주년 기념식에서 “일본과 우리 사이에는 과거 불행했던 역사가 있었다. 우리는 그 역사를 잊지 못한다. 가해자는 잊을 수 있어도, 피해자는 잊지 못하는 법”이라면서도 “그러나 100년이 지난 지금, 한일 양국은 경제, 문화, 인적교류 등 모든 분야에서 서로에게 매우 중요한 이웃이 됐다”고 했다.

한일 관계와 관련해 “과거에 발목 잡혀 있을 순 없다. 과거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대로 해결해 나가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며 “우리 정부는 한일 양국의 협력과 미래발전을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을 것이며, 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수십 년간 한일 양국은 일종의 분업구조를 토대로 함께 경쟁력을 높여왔고, 한국의 성장은 일본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 일본의 성장은 한국의 발전에 도움이 됐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넘어야 할 유일한 장애물은, 때때로 과거의 문제를 미래의 문제와 분리하지 못하고 뒤섞음으로써, 미래의 발전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것”이라면서 “우리는 과거의 역사를 직시하면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며 “과거의 잘못에서 교훈을 얻는 것은 결코 부끄러운 일이 아니며, 오히려 국제사회에서 존중받는 길”이라고 했다. “한국은 과거 식민지의 수치스러운 역사와 동족상잔의 전쟁을 치렀던 아픈 역사를 결코 잊지 않고 교훈을 얻고자 노력하고 있다면서 한일 양국의 협력과 미래발전을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3·1 독립선언서는 일본에게, 용감하고 현명하게 과거의 잘못을 바로잡고 참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인 새로운 관계를 만들자고 제안했다”며 “우리의 정신은 그때나 지금이나 달라지지 않았다”고 했다.
일본 언론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속보로 전하면서 “징용이나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해결책 제시는 없었지만 일한 협력 노력을 특별히 강조했다”고 평가했다.

NHK는 “문 대통령이 냉각된 양국 관계에 대해 ‘언제나 일본 정부와 마주앉아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고 전햇고 요미우라 신문은 “위안부 문제와 태평양전쟁 때 ‘징용’을 둘러싼 문제는 직접 언급하지 않고, 외교로 현안을 해결한다는 그동안의 입장을 반복 역사 문제와 분리해 일본과 협력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강조했지만, 일본 정부를 향한 구체적인 요구나 새로운 제안은 없었던 것이 아쉽다고 했다. 지지통신은 “문 대통령이 ‘한국의 성장은 일본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 일본의 성장은 한국의 발전에 도움이 됐다’라고 말한 부분을 강조하면서 “징용, 위안부 등에 대해 ‘피해자 중심주의’를 언급하면서도 일한 협력 노력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 정부 시절 외교부 1차관,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한 야당 조용태 의원 같은 이는 “너무도 당연한 말인데, 혼란스럽다”며 “문 대통령이 대일 강경론에서 유화론으로 180도 달라졌지만 그 이유에 대해선 아무런 설명이 없기는 해도 긍정적”이라고 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관계를 개선한다고 국가정보원장을 일본에 급파하고, ‘위안부 합의는 정부의 공식 합의’라며 기존의 입장을 바꿨다고 했다.
보수 외교관 출신인 그는 이날 기념사가 우리 정부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것만 빼고 일본이 듣기 좋을 립서비스를 다 했다고 폄하 했지만 “일본과의 외교는 그야말로 고차원 복합방정식”이라고 했다.
그는 “대일외교를 국내정치의 종속변수로 이용하다가 남북 관계가 막혔다고 일본에 러브콜을 보내는 갈팡질팡 외교로는 일본으로부터도 무시만 받게 된다”며 “문재인 정부의 대일외교는 이후 정부들이 반드시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3.1운동의 정신은 첫째로 민족의 독립, 자유정신이 둘째 민주정신이다. 민주운동이었고 민중운동이었다. 셋째는 대동단결의 정신, 연합의 정신이다. 넷째로 평등정신이다. 모든 민중이 각자가 주체적으로 평등하게 참여했다 다섯째로 저항정신이다. 여섯째로 비폭력 정신이다. 저항의 방법은 비폭력, 무저항 정신이다. 일곱째로 세계평화정신이었다.
오늘 이 시점이야 말로 한일관계 개선이며 산적한 국내외 문제에서 3.1운동의 이 정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 독립국임을 선언하고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위운동을 전개한 사건한다. 40여 일 만인 4월 11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민족의 역사가 완전히 뒤바뀌었다.. 군주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바뀐 것이다. 단군 고조선부터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우리 역사는 군주의 역사였다. 국민 주권의 역사로 뒤바뀌는 민족사의 대전환이 일어난 것이다. 민족의 역사를 완전히 뒤바꾸어 놓은 사건, 그것이 3·1운동이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였다. 그리고 일제의 식민 무단통치를 분연히 거부한 평화운동의 시작 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3.1정 당일 서울 종로 탑골공원에서 열린 102주년 기념식에서 “일본과 우리 사이에는 과거 불행했던 역사가 있었다. 우리는 그 역사를 잊지 못한다. 가해자는 잊을 수 있어도, 피해자는 잊지 못하는 법”이라면서도 “그러나 100년이 지난 지금, 한일 양국은 경제, 문화, 인적교류 등 모든 분야에서 서로에게 매우 중요한 이웃이 됐다”고 했다.

한일 관계와 관련해 “과거에 발목 잡혀 있을 순 없다. 과거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대로 해결해 나가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며 “우리 정부는 한일 양국의 협력과 미래발전을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을 것이며, 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수십 년간 한일 양국은 일종의 분업구조를 토대로 함께 경쟁력을 높여왔고, 한국의 성장은 일본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 일본의 성장은 한국의 발전에 도움이 됐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넘어야 할 유일한 장애물은, 때때로 과거의 문제를 미래의 문제와 분리하지 못하고 뒤섞음으로써, 미래의 발전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것”이라면서 “우리는 과거의 역사를 직시하면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며 “과거의 잘못에서 교훈을 얻는 것은 결코 부끄러운 일이 아니며, 오히려 국제사회에서 존중받는 길”이라고 했다. “한국은 과거 식민지의 수치스러운 역사와 동족상잔의 전쟁을 치렀던 아픈 역사를 결코 잊지 않고 교훈을 얻고자 노력하고 있다면서 한일 양국의 협력과 미래발전을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3·1 독립선언서는 일본에게, 용감하고 현명하게 과거의 잘못을 바로잡고 참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인 새로운 관계를 만들자고 제안했다”며 “우리의 정신은 그때나 지금이나 달라지지 않았다”고 했다.
일본 언론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속보로 전하면서 “징용이나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해결책 제시는 없었지만 일한 협력 노력을 특별히 강조했다”고 평가했다.

NHK는 “문 대통령이 냉각된 양국 관계에 대해 ‘언제나 일본 정부와 마주앉아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고 전햇고 요미우라 신문은 “위안부 문제와 태평양전쟁 때 ‘징용’을 둘러싼 문제는 직접 언급하지 않고, 외교로 현안을 해결한다는 그동안의 입장을 반복 역사 문제와 분리해 일본과 협력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강조했지만, 일본 정부를 향한 구체적인 요구나 새로운 제안은 없었던 것이 아쉽다고 했다. 지지통신은 “문 대통령이 ‘한국의 성장은 일본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 일본의 성장은 한국의 발전에 도움이 됐다’라고 말한 부분을 강조하면서 “징용, 위안부 등에 대해 ‘피해자 중심주의’를 언급하면서도 일한 협력 노력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 정부 시절 외교부 1차관,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한 야당 조용태 의원 같은 이는 “너무도 당연한 말인데, 혼란스럽다”며 “문 대통령이 대일 강경론에서 유화론으로 180도 달라졌지만 그 이유에 대해선 아무런 설명이 없기는 해도 긍정적”이라고 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관계를 개선한다고 국가정보원장을 일본에 급파하고, ‘위안부 합의는 정부의 공식 합의’라며 기존의 입장을 바꿨다고 했다.

보수 외교관 출신인 그는 이날 기념사가 우리 정부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것만 빼고 일본이 듣기 좋을 립서비스를 다 했다고 폄하 했지만 “일본과의 외교는 그야말로 고차원 복합방정식”이라고 했다.
그는 “대일외교를 국내정치의 종속변수로 이용하다가 남북 관계가 막혔다고 일본에 러브콜을 보내는 갈팡질팡 외교로는 일본으로부터도 무시만 받게 된다”며 “문재인 정부의 대일외교는 이후 정부들이 반드시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3.1운동의 정신은 첫째로 민족의 독립, 자유정신이 둘째 민주정신이다. 민주운동이었고 민중운동이었다. 셋째는 대동단결의 정신, 연합의 정신이다. 넷째로 평등정신이다. 모든 민중이 각자가 주체적으로 평등하게 참여했다 다섯째로 저항정신이다. 여섯째로 비폭력 정신이다. 저항의 방법은 비폭력, 무저항 정신이다. 일곱째로 세계평화정신이었다.
오늘 이 시점이야 말로 한일관계 개선이며 산적한 국내외 문제에서 3.1운동의 이 정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