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는 미국의 수도이자 세계의 정치·행정 수도이다. 워싱턴 지역 동포사회 또한 이런 프레임에 벗어날 수 없어 한국 정치와 민감하게 서로 교차하고 있다. 이승만 대통령에서부터 대한민국 대통령들의 방미에 얽힌 일화를 중심으로 한미 간 풍습과 제도적 차이점을 매주 월,화 【리국 칼럼】으로 전해드린다. 필명인 리국 선생님은 재미 언론인으로 오랜기간 현장을 발로 뛰고 있는 기자이다.
이승만 대통령 “우리 집이 없어서...”/ 대통령 방미에 얽힌 일화 1
워싱턴을 처음 방문한 한국 대통령은 역시 이승만이었다. 한국전이 끝난 이듬해인 1954년 7월26일 이 대통령은 미국을 방문했다. 전후 한국에 대한 지원을 이끌어내려는 목적이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회담, 상하원 합동회의에서의 연설, 뉴욕에서의 ‘영웅 행진’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쳤다.
이승만 대통령 부부가 김포공항에서 미 군용기 트랩에 올라 환송 꽃다발을 받고 있다.

# "절대 일본땅 안 밟겠다"
이 대통령은 7월25일 오후 5시 비가 내리는 김포공항에서 미국이 제공한 군용기 편으로 장도에 올랐다.
원래 일본을 경유해야 하나, 이 박사가 절대 일본 땅을 밟지 않겠다고 고집해 비행기는 얄류산 열도의 에이댁(Adak)섬과 시애틀을 경유해 26일 오후 4시 워싱턴 공항에 도착했다.

워싱턴 공항에서 이 대통령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기록관>
# 닉슨 부통령 공항 영접
공항에서는 닉슨 부통령과 덜레스 국무장관, 래드포드 합참의장, 리지웨이 육참총장 등이 영접을 나왔다. 또 수십 명의 한인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이 대통령을 환영했다.
이 대통령이 도착연설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닉슨 부통령. <사진= 대통령 기록관>
노익의 대통령은 15분간이란 긴 도착 연설에서 관례를 깼다.
“우리가 압록강까지 차지할 수 있었으나 일부 사람들이 조금 겁을 먹어 우리는 다 차려놓은 밥상을 차지할 수 없었다.”
미국이 겁을 먹어 한반도 통일을 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토로하며 한방 먹인 것이다.
백악관에 도착한 이 대통령을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맞이하고 있다. <사진=대통령 기록관>

# 공식 수행원은 27명
이승만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백악관 기자회견,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미 의회 연설, 대통령 주최 만찬과 각계 인사들 접견, 알링턴 국립묘지와 조지워싱턴 대통령 집 방문, 링컨기념관 방문, 주미 한국대사관에서의 환영회, 조지워싱턴 대학 명예 법학박사 학위 수여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쳤다.
이어 뉴욕과 필라델피아 방문, 콜럼비아 대학 명예박사 학위 수여, 미 정계 인사 참석 만찬회에서 연설, 유엔(UN) 본부 방문 및 사무총장 환담, 시카고 방문, 미주리주 인디펜던스의 트루만 전 대통령 자택 방문, 로스앤젤레스 방문 등의 일정을 마치고 호놀룰루를 거쳐 8월13일 서울에 돌아왔다.
대통령 공식 수행원은 27명이었다. 손원일 국방장관, 정일권 육참총장, 최덕신 육군작전기획부장(소장) 등 군 인사들도 포함돼 있었다.

이승만 대통령 부부와 아이젠하워 대통령 부부

#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다툼
이 대통령은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은 순탄치 않았다.
일본과 우호적인 관계를 희망하는 미국 측의 요구에 이 대통령이 반발하자 화가 난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자리를 비우기도 했고 이 대통령은 회의장을 먼저 떠나버리며 응수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의 못 말리는 고집과 자존심은 미국 측 인사들의 고개를 흔들게 했다.
이승만 대통령이 미 의회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6월28일 이 대통령은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하며 30여 차례 기립박수를 받았다. 그는 트루먼 전 대통령과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한국을 위기에서 구해준데 대해 감사를 표했다.
이승만 대통령이 미 의회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왼편 뒤에 앳된 얼굴의 닉슨 부통령과 하원의원의 모습이 보인다.

# 메이플라워 호텔에서의 만찬
이 대통령은 저녁에는 D.C.의 메이플라워 호텔에서 아이젠하워 대통령 부부를 위한 만찬을 베풀었다. 도착일 저녁,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베푼 국빈만찬에 대한 답례였다.
70여명을 초청한 만찬장에서 이 대통령은 “우리 집이 주미 한국 대사관이므로 아무리 궁핍할지라도 각하를 우리 집에 초대해야 마땅하나 손님에 비해 집이 너무 협소해 메이플라워에 초대했다”고 인사했다.
1925년에 문을 연 유서깊은 백악관 인근의 메이플라워 호텔.
전쟁을 막 치른 나라의 궁핍한 사정이 연설에 그대로 묻어났다.
만찬 도중에는 성악가 김자경이 ‘봉선화’ 등 한국 가곡을 불렀고 와싱톤한인교회의 황재경 목사가 악기인 톱을 연주했으며 그의 딸은 한복을 입고 고전무용을 추었다. 만찬은 밤 8시부터 11시까지 진행됐다.
이 대통령의 숙소는 백악관 바로 앞의 영빈관(블레어 하우스)였다.
당시 워싱턴 지역의 한인 수라 해봐야 고작 50명 남짓 하던 시절이었다. 주미대사관에서 동포 환영회를 열었다는 기록은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전해지지 않는다.
이승만 대통령은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회담, 상하원 합동회의에서의 연설, 뉴욕에서의 ‘영웅 행진’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쳤다.

이승만 대통령 부부가 김포공항에서 미 군용기 트랩에 올라 환송 꽃다발을 받고 있다.

# "절대 일본땅 안 밟겠다"
이 대통령은 7월25일 오후 5시 비가 내리는 김포공항에서 미국이 제공한 군용기 편으로 장도에 올랐다.
원래 일본을 경유해야 하나, 이 박사가 절대 일본 땅을 밟지 않겠다고 고집해 비행기는 얄류산 열도의 에이댁(Adak)섬과 시애틀을 경유해 26일 오후 4시 워싱턴 공항에 도착했다.

워싱턴 공항에서 이 대통령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기록관>
# 닉슨 부통령 공항 영접
공항에서는 닉슨 부통령과 덜레스 국무장관, 래드포드 합참의장, 리지웨이 육참총장 등이 영접을 나왔다. 또 수십 명의 한인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이 대통령을 환영했다.

이 대통령이 도착연설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닉슨 부통령. <사진= 대통령 기록관>
노익의 대통령은 15분간이란 긴 도착 연설에서 관례를 깼다.
“우리가 압록강까지 차지할 수 있었으나 일부 사람들이 조금 겁을 먹어 우리는 다 차려놓은 밥상을 차지할 수 없었다.”
미국이 겁을 먹어 한반도 통일을 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토로하며 한방 먹인 것이다.

백악관에 도착한 이 대통령을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맞이하고 있다. <사진=대통령 기록관>

# 공식 수행원은 27명
이승만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백악관 기자회견,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미 의회 연설, 대통령 주최 만찬과 각계 인사들 접견, 알링턴 국립묘지와 조지워싱턴 대통령 집 방문, 링컨기념관 방문, 주미 한국대사관에서의 환영회, 조지워싱턴 대학 명예 법학박사 학위 수여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쳤다.
이어 뉴욕과 필라델피아 방문, 콜럼비아 대학 명예박사 학위 수여, 미 정계 인사 참석 만찬회에서 연설, 유엔(UN) 본부 방문 및 사무총장 환담, 시카고 방문, 미주리주 인디펜던스의 트루만 전 대통령 자택 방문, 로스앤젤레스 방문 등의 일정을 마치고 호놀룰루를 거쳐 8월13일 서울에 돌아왔다.
대통령 공식 수행원은 27명이었다. 손원일 국방장관, 정일권 육참총장, 최덕신 육군작전기획부장(소장) 등 군 인사들도 포함돼 있었다.

이승만 대통령 부부와 아이젠하워 대통령 부부

#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다툼
이 대통령은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은 순탄치 않았다.
일본과 우호적인 관계를 희망하는 미국 측의 요구에 이 대통령이 반발하자 화가 난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자리를 비우기도 했고 이 대통령은 회의장을 먼저 떠나버리며 응수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의 못 말리는 고집과 자존심은 미국 측 인사들의 고개를 흔들게 했다.

이승만 대통령이 미 의회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6월28일 이 대통령은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하며 30여 차례 기립박수를 받았다. 그는 트루먼 전 대통령과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한국을 위기에서 구해준데 대해 감사를 표했다.

이승만 대통령이 미 의회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왼편 뒤에 앳된 얼굴의 닉슨 부통령과 하원의원의 모습이 보인다.

# 메이플라워 호텔에서의 만찬
이 대통령은 저녁에는 D.C.의 메이플라워 호텔에서 아이젠하워 대통령 부부를 위한 만찬을 베풀었다. 도착일 저녁,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베푼 국빈만찬에 대한 답례였다.
70여명을 초청한 만찬장에서 이 대통령은 “우리 집이 주미 한국 대사관이므로 아무리 궁핍할지라도 각하를 우리 집에 초대해야 마땅하나 손님에 비해 집이 너무 협소해 메이플라워에 초대했다”고 인사했다.

1925년에 문을 연 유서깊은 백악관 인근의 메이플라워 호텔.
전쟁을 막 치른 나라의 궁핍한 사정이 연설에 그대로 묻어났다.
만찬 도중에는 성악가 김자경이 ‘봉선화’ 등 한국 가곡을 불렀고 와싱톤한인교회의 황재경 목사가 악기인 톱을 연주했으며 그의 딸은 한복을 입고 고전무용을 추었다. 만찬은 밤 8시부터 11시까지 진행됐다.
이 대통령의 숙소는 백악관 바로 앞의 영빈관(블레어 하우스)였다.
당시 워싱턴 지역의 한인 수라 해봐야 고작 50명 남짓 하던 시절이었다. 주미대사관에서 동포 환영회를 열었다는 기록은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전해지지 않는다.

Number | Title | Date |
52 |
워싱턴에서 살려면 한 달에 얼마나 들까?
|
2021.09.20 |
51 |
미국 선거, 후원금 얼마나 낼 수 있나?
|
2021.09.20 |
50 |
미국 정치인들의 뇌물과 부정부패
|
2021.09.12 |
49 |
특권의식을 버려라!: 미국 고위층들의 권위주의
|
2021.07.09 |
48 |
미국 국회의원들이 자취를 하는 이유
|
2021.07.09 |
47 |
미 정계에서 신인 돌풍은 왜 어려운 걸까?
|
2021.07.09 |
46 |
“동포들이 자긍심 갖는 조국 만들겠다”: 문재인의 약속
|
2021.06.24 |
45 |
연예인 저리 가라: 문재인 동포간담회 이모저모
|
2021.06.24 |
44 |
파격, 아이돌 스타급 환영: 문재인 대통령 워싱턴 방문 이모저모
|
2021.06.24 |
43 |
"건배사는 동대문으로 하겠다": 박근혜 대통령 방미 일화
|
2021.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