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중 대표 프로필
하이유에스코리아 대표, (사)재외동포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
전버지니아 한인회장, 전 워싱턴코리안뉴스 발행인 | acts29v2020@gmail.com
[3.1 대혁명이라 부르고,사회주의자 서훈에는 신중을]
올해는 우리 한민족의 가장 큰 기념일인 3.1 대혁명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런데 왜 모두들 아직 3.1운동이라고 부르고 있는지 모르겠다. 1930년대 이후 독립운동가 대부분은 3.1혁명이라 불렀고,분명히 대한민국임시정부도 1941년부터 3.1대혁명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는데도 말이다.
문헌을 찾아보니 애초 3.1만세, 3.1항쟁, 3.1 시위 등으로 불리우던 3.1대혁명은 1944년 정부가 제정한 대한민국임시헌장에서 3.1대혁명이라고 명시했었다. 그러나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헌법을 제정할 때 애초 유진오가 마련한 초안 전문에는 '3.1혁명'이라고 명시하였으나 제헌국회에서 이승만 대통령이 '혁명'이란 용어에 거부 반응을 일으켰고, 투표에 부쳐진 결과 재석의원 157인 중 가 91,부 16으로 '3.1혁명'은 '3.1운동'이란 용어로 비칭되기에 이르렀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승만 대통령도 재미 망명기인 1942년 워싱턴의 '자유한인대회'등의 연설에서는 '3.1혁명'이란 용어를 사용했다고 한다. 그러나 막상 대통령이 되고 친일세력들의 권력에 휘말리자 '3.1운동'으로 비칭하는데 동조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정부차원에서도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해 12월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 모두발언에서 "'3.1운동'의 정명, 바른 이름 붙이기에 관해 제안한다"고 제의 하면서부터 '3.1혁명' 정명운동이 시작되고 있다.
동학농민운동이 동학혁명으로, 4.19 학생운동도 4.19 혁명으로 정명되었듯이 3.1운동을 앞으로는 '3.1 대혁명' 이라고 부르자.
그런데 올해 3·1운동 100주년 기념식에서 포상될 독립유공자 333명에 한모씨 등 사회주의 활동 경력을 지닌 독립운동가 5명도 포상 대상자에 포함될 예정이다고 한다.그리고 영화 '암살'에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진 광복군 부사령관을 지낸 김원봉 장군 (1898∼1958)과, 남자처럼 말타고 포를 쏘며 일본군과 맞섰던 여성장군 김명시 (1907-1949년)에 대한 독립유공자 지정 여부도 논란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독립운동에 앞장선 것은 엄연한 사실이나 사회주의자들로서 해방 이후 북한 김일성 정권 수립에 기여한 것이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한다.
김구 선생님은 1943년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는 '3·1'절을 기념할 때 반드시 '3·1'대혁명의 정신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밝히고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3·1'대혁명의 가장 기본적인 정신은 바로 '반일독립'과 '민주자유'이다. 자존과 공존, 민주와 단결이야말로 '3·1'대혁명 정신의 요체이자 전부라 할 수 있다."
김구 선생님께서는 '3·1 혁명'이 독립을 목표로 한 민족혁명이자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한 민주혁명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자유·민주·평등의 가치를 내건 새로운 정치체제 곧 민주공화제가 되길 원했던 것이다.
나는 사회주의자나 북한정권에 부역한 자들에 대한 독립유공자 서훈에는 아직은 때가 아니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남북간 평화정책으로 인해 통일의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 국민정서상 맞지가 않고, 더구나 3.1대혁명 100주년을 기념해서 서훈한다는 것도 3.1혁명 정신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싶다.
이 문제는 정치권,보훈처,보훈단체에서 왈가왈부 할 것이 아니라,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는 역사,정치,사회학자들의 진지한 고민부터 먼저 있어야 할 때이다는 생각이 든다.
강남중 발행인
문헌을 찾아보니 애초 3.1만세, 3.1항쟁, 3.1 시위 등으로 불리우던 3.1대혁명은 1944년 정부가 제정한 대한민국임시헌장에서 3.1대혁명이라고 명시했었다. 그러나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헌법을 제정할 때 애초 유진오가 마련한 초안 전문에는 '3.1혁명'이라고 명시하였으나 제헌국회에서 이승만 대통령이 '혁명'이란 용어에 거부 반응을 일으켰고, 투표에 부쳐진 결과 재석의원 157인 중 가 91,부 16으로 '3.1혁명'은 '3.1운동'이란 용어로 비칭되기에 이르렀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승만 대통령도 재미 망명기인 1942년 워싱턴의 '자유한인대회'등의 연설에서는 '3.1혁명'이란 용어를 사용했다고 한다. 그러나 막상 대통령이 되고 친일세력들의 권력에 휘말리자 '3.1운동'으로 비칭하는데 동조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정부차원에서도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해 12월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 모두발언에서 "'3.1운동'의 정명, 바른 이름 붙이기에 관해 제안한다"고 제의 하면서부터 '3.1혁명' 정명운동이 시작되고 있다.
동학농민운동이 동학혁명으로, 4.19 학생운동도 4.19 혁명으로 정명되었듯이 3.1운동을 앞으로는 '3.1 대혁명' 이라고 부르자.
그런데 올해 3·1운동 100주년 기념식에서 포상될 독립유공자 333명에 한모씨 등 사회주의 활동 경력을 지닌 독립운동가 5명도 포상 대상자에 포함될 예정이다고 한다.그리고 영화 '암살'에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진 광복군 부사령관을 지낸 김원봉 장군 (1898∼1958)과, 남자처럼 말타고 포를 쏘며 일본군과 맞섰던 여성장군 김명시 (1907-1949년)에 대한 독립유공자 지정 여부도 논란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독립운동에 앞장선 것은 엄연한 사실이나 사회주의자들로서 해방 이후 북한 김일성 정권 수립에 기여한 것이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고 한다.
김구 선생님은 1943년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는 '3·1'절을 기념할 때 반드시 '3·1'대혁명의 정신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밝히고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3·1'대혁명의 가장 기본적인 정신은 바로 '반일독립'과 '민주자유'이다. 자존과 공존, 민주와 단결이야말로 '3·1'대혁명 정신의 요체이자 전부라 할 수 있다."
김구 선생님께서는 '3·1 혁명'이 독립을 목표로 한 민족혁명이자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한 민주혁명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자유·민주·평등의 가치를 내건 새로운 정치체제 곧 민주공화제가 되길 원했던 것이다.
나는 사회주의자나 북한정권에 부역한 자들에 대한 독립유공자 서훈에는 아직은 때가 아니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남북간 평화정책으로 인해 통일의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 국민정서상 맞지가 않고, 더구나 3.1대혁명 100주년을 기념해서 서훈한다는 것도 3.1혁명 정신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싶다.
이 문제는 정치권,보훈처,보훈단체에서 왈가왈부 할 것이 아니라,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는 역사,정치,사회학자들의 진지한 고민부터 먼저 있어야 할 때이다는 생각이 든다.
강남중 발행인